비주얼코칭센터 공식 블로그

팀이라는 이름 뒤에 숨은 착각을 짚고, 연구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진짜 팀(Real Team)과 가짜 팀(Pseudo Team)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리얼팀이 되기 위한 조건과 실행 전략을 제시합니다.
서지현
서지현Aug 25, 2025
💡
팀이라는 이름 뒤에 숨은 착각을 짚고, 연구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진짜 팀(Real Team)과 가짜 팀(Pseudo Team)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리얼팀이 되기 위한 조건과 실행 전략을 제시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점으로 팀을 세우는 서코치입니다.

오늘은 많은 리더와 팀이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중요한 질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진짜 팀일까요, 아니면 그냥 함께 일하는 사람들일까요?”

팀이라는 이름의 착각

현대 조직에서 ‘팀’이라는 단어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마케팅팀, 개발팀, 영업팀… 하지만 명칭이 ‘팀’이라고 해서 모두가 진짜 팀은 아닙니다.

조직심리학자 Hackman(2002)은 많은 조직이 “팀의 로맨스(team romance)”에 빠져 있다고 설명합니다. 겉보기에는 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각자 따로 일하는 사람들의 집합에 불과한 경우가 많습니다.

West와 Lyubovnikova(2012)는 이를 가짜팀(Pseudo Team)이라 정의합니다. 가짜팀은 협력보다는 개인 성과의 합에 의존하고, 목표에 대한 해석이 제각각이며, 오히려 성과가 워킹 그룹보다 낮아지기도 합니다.

그룹과 팀은 무엇이 다른가?

Katzenbach와 Smith(1993)는 **워킹 그룹(Working Group)**과 **팀(Team)**을 다음과 같이 구분했습니다.

  • 워킹 그룹: 정보 공유가 목적, 개별 성과의 합 = 그룹 성과
  • : 공동의 목표와 상호 의존성, 집단적 성과에 대한 공동 책임

즉, 진짜 팀은 1+1=2가 아니라, 1+1>3의 시너지를 만들어냅니다.

팀의 성장 단계: 카젠바흐-스미스 모델

카젠바흐와 스미스는 팀의 성장을 5단계로 설명합니다.

  1. 워킹 그룹 – 개별 성과의 합
  2. 가짜팀 – 성과가 가장 낮은 단계 ⚠️
  3. 잠재팀 – 노력은 하지만 부족함 존재
  4. 리얼팀 – 공동 목적과 상호 책임을 갖춘 진짜 팀 ✅
  5. 고성과팀 – 개인 성장까지 함께 추구하며 최고 성과 달성 🏆

이 모델이 주는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팀은 의도적 노력과 과정을 통해 성장한다.”

리얼팀의 조건: 6가지 특징

West & Lyubovnikova(2012)는 진짜 팀(Real Team)의 조건을 6가지로 정리했습니다.

  1. 명확한 목표 – 모든 구성원이 동일하게 이해하는 목표
  2. 긴밀한 상호의존성 – 협력 없이는 달성할 수 없는 구조
  3. 명확한 경계 – 누가 팀 멤버인지 분명히 정의
  4. 높은 자율성 – 목표 달성 방법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
  5. 체계적 성찰 – 정기적으로 팀 성과와 과정을 검토
  6. 명시된 역할 – 각자의 역할과 책임이 분명하고 보완적임

여러분의 팀은 이 조건들을 얼마나 충족하고 있나요?

구글의 발견: 성과내는 팀의 비밀

구글은 수년간 진행한 연구(Project Aristotle)에서 성과가 높은 팀의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Google re:Work, 2015)

  1. 심리적 안전감 – 실수를 해도 비난받지 않는 환경
  2. 신뢰성 – 서로의 약속과 일정 준수
  3. 구조와 명확성 – 목표와 역할이 분명함
  4. 의미 – 개인적으로 중요한 일이라고 느낄 수 있는 환경
  5. 영향 – 업무가 더 큰 목적에 기여한다고 믿는 감각

놀랍게도, 이는 구성원 개개인의 능력보다도 팀의 관계적 토대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우리 팀 진단하기: 리얼팀 체크리스트

다음 질문에 체크해보세요.

  • 우리 팀의 목표를 모든 구성원이 동일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 서로의 성과가 팀 전체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가?
  • 팀의 역할과 경계가 명확한가?
  • 팀은 스스로 문제 해결 권한을 가지고 있는가?
  • 정기적으로 성과와 과정을 돌아보고 학습하는가?
  • 각자의 강점과 역할이 명확히 드러나는가?
  • 팀 안에 심리적 안전감이 존재하는가?

만약 이 중 다수가 “아니오”라면, 아직 리얼팀으로 성장할 여지가 많다는 뜻입니다.

가짜팀에서 리얼팀으로 가는 길

그렇다면 어떻게 가짜팀에서 리얼팀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요?

  1. 현실 직시 – 솔직한 진단으로 출발하기
  1. 공동 목표 수립 – 모든 구성원이 참여해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기
  1. 역할 명확화 – 각자의 강점과 책임을 분명히 하기
  1. 심리적 안전감 조성 – 실패를 학습 기회로 받아들이기
  1. 지속적 성찰 – 정기적으로 돌아보고 피드백 주고받기

오늘 소개한 연구와 모델들을 통해 다시 질문을 던지고 싶습니다.

  • 우리는 진짜 팀일까요, 아니면 가짜팀일까요?
  • 우리 팀은 리얼팀의 조건을 얼마나 충족하고 있나요?
  • 리얼팀으로 가기 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첫 걸음은 무엇일까요?

리얼팀이 되는 것은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올바른 방향성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여러분의 팀도 반드시 1+1=3의 시너지를 내는 진짜 팀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강점을 기반으로 한 팀 코칭과 조직문화 설계를 통해, 많은 팀이 “리얼팀”으로 거듭나는 여정을 함께하고 싶습니다.

참고문헌

  • Hackman, J. R. (2002). Leading teams: Setting the stage for great performances. Harvard Business Press.
  • Katzenbach, J. R., & Smith, D. K. (1993). The wisdom of teams: Creating the high-performance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Press.
  • West, M. A., & Lyubovnikova, J. (2012). Real teams or pseudo teams?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1), 25–37.
  • McGrath, J. E. (1964). Social psychology: A brief introduc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